top of page

Weather
Chart

How to Analyze Data of Weather Chart

Surface​

  1. 고기압과 저기압 위치 및 기압계 이동에 의한 변화 파악

  • 현재 기압계 위치에 따른 전반적인 날씨 확인

  • 전후 시간대 기압계 이동에 의한 변화 및 흐름 파악,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 기압 발달 확인 (ex. 19일 새벽부터 09시까지 중국내륙 및 상해 부근 저기압 발달 -> 이후 2개 저기압 동진하며 한반도 지나 저기압 영향권, 강수 예상)  

  • 고기압:  바람이 시계방향으로 불어나오며 맑은 날씨, 건조한 대기, 기온변화

  • 저기압: 바람이 반시계방향으로 불어들어가며 흐린 날씨

 

2. 기온, 바람 세기 및 방향 파악

  • 전반적인 분포 파악 가능

  • 기압계 근처 바람으로 인한 영향(+기온 영향 확인)

  • 기압경도 파악해 바람의 세기(간격 좁을수록 바람이 더 강하게 붊)

  • (ex. 23일: 남쪽 고기압에서의 시계방향 흐름 따라 남서풍, 북쪽 저기압에서의 반시계 방향 흐름 따라 북서풍 -> 두 바람이 한반도 부근에서 서풍으로 합쳐짐(전체적으로 서풍 영향 받게됨), 특히 고기압-저기압 사이 가까워질수록 바람이 지나는 통로 더 좁아지며 바람 더 강하게 불게 됨) 

  • 지표 복사냉각 영향 기온 파악: 낮 동안 맑고 따듯한 날씨로 달궈졌던 지표면이 밤이 되어 식어버리면 기온이 급격히 떨어짐. 

  • 구름이 없는 맑은 날(대기 건조, 구름 적음, 지표면 열 방출 큼 - 아침 기온 크게 떨어짐)과 구름 낀 날(기온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막음, 기온 오를 수 있음)을 구분해 밤사이 기온변화 파악 

 

3. 기압골, 기압마루, 전선 확인

 

4. 위성영상과 연결 

  • 위성영상 참고하여 구름(ex. 0319 구름대였던 것이 저기압으로 발달) 확인

  • 기압계 근처 수증기 유입 확인

1800.gif

925hPa  

  1. 약 800m 상공 (지면과 매우 가까운 층임을 인지)

  2. 파란색 등고선, 빨간색 등온선, 초록색 습수역

  3. 겨울 아침 최저 기온 예보에 활용

  4.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고기압, 저기압 위치 확인

  5. 등고선과 등온선의 관계로 수직 운동 정도 파악

  6. 등고선의 밀도로 바람 세기 확인

  7. 등온선으로 해당 층 기온과 강수 형태 결정

  8. 습수역으로 안개와 비 확인

  9. 실제 기록과 비교하면서 근거 찾기

031809.GIF

850hPa

1. 기압계의 발달

 

              저기압 중심의 숫자가 작아짐→ 저기압 발달

2. 강수형태

 

  • 0도선을 그어서 위에는 눈, 아래는 비 저기압 중심의 숫자가 작아짐→ 저기압 발달

  • 주로 겨울철 강수형태를 파악할 때 유용

 3. 하층제트와 제트스트리크의 역할

 

  • 보조일기도 중에 ' 850hPa  Convergence' 로 LLJ 이동 파악

  • 수분속으로 하층제트 수분이 얼마나 이동하는가 파악

  • 수분속은 수증기가 수렴하는 곳이 파란색 계열로 채색

  • 수증기의 유입이 많고 유출이 적은 곳에서 비구름이 발생하기 쉬움

 4. 850hPa  유선 & 등풍속선

 

  • 850hPa 기류의 흐름을 파란색 실선으로 파악

  • 25kt 이상 강풍구역이 녹색 계열 채색

  • 25kt 등풍속선은 빨간 실선으로 표시

  • 기류가 수렴하는 부분은 날씨가 악화됨

  • 유선이 조밀한 곳에서 풍속이 강함

 5. 기압골과 온도능 파악

 

  • 온도밀접구역(등온선이 조밀한 곳)을 중심으로 파악

  • 등온선과 등고선의 밀집정도에 따라 강도가 다름

  • 밀할수록 강함을 뜻함

 6.온도이류 파악

 

  • 등고선에 평행하게 바람이 불 때, 등온선의 값이 커지면 한랭이류/ 등온선의 값이 작아지면 온난이류로 표시

  • 강한 온난이류는 지상 기온 상승 가능성

  • 강한 한행이류는 지상 기온 하강 가능성

  •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서W(warm), C(cold) 표시 주의

 

7. 녹색표시는 습윤구역 의미

 

  • 보조일기도에서 유선&등풍속선과 수분속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

2021.03.18.09.png

700hPa

1. 기압 분포 

  • 전체적인 고,저기압 분포 확인 및 기압골을 중심으로 저기압 세력 강화 여부 판단 (절리저기압 발생시 지상일기도 유사한 위치에 저기압 발생 가능성 있음-지상일기도와 연계해 분석)

2. 기온 

  • 온도선과 경도선의 경도차이를 비교하며 온도능과 골을 파악

3. 바람 

  • 바람 방향, 등고선 간격을 이용한 바람 세기 분석

4. 수분 

  • 일기도 내 습수역 표시를 통해 수분 유입 파악

5. (보조) 습수역 

  • 수분, 수증기 유입 분석시 이슬점 온도, 기온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보조일기도를 활용해 습수역 판단 (18-21일 부근 수증기 유입 및 이동 경로 파악 시 활용)

6. (보조) 연직속도

  • 저기압 발달로 인한 상승운동을 확인하는데 이용. 상층일기도 내 절리저기압 발생 시 강한 상승운동 관찰 가능. (저기압 발생 판단 시 활용 가능)

09시.gif

500hPa

1.     기압골(대기 불안정)과 기압능(대기 안정) 파악

  • <500hPa 와도> 보조일기도를 통해 기압골을 찾음

  • 기압골 전방에서 지상저기압이 발달, 후방에서는 지상저기압이 쇠퇴

  • 기압골 아래에 지상고기압이 있다면 키작은 고기압으로 날씨가 좋지 않음

  • 한랭기압골인지 온난기압골인지 판단

  • 온난기압골 전방에는 강한 상승기류, 후방에는 강한 하강기류 존재

  • 등온선 진폭이 등고선 진폭보다 큰 경우의 한랭기압골 전방, 후방에 각각  약한 하강기류, 약한 상승기류가 발생.

  • 등온선 진폭이 등고선 진폭보다 작은 경우의 한랭기압골 전방, 후방에는 각각 약한 상승기류, 약한 하강기류가 나타남. (L, C가 일기도에 같이 표시되면 한랭기압골)

  • 한랭기압골이 서로 가깝게 위치해 있을 때는 두 기압골의 중심을 직경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2. <500hPa 와도> 보조일기도

  •  노란색, 주황색 등의 부분은 와도가 양수임을 뜻함

  •  양수의 와도는 저기압 및 기상악화와 관련이 있음

3.     <500hPa 24시간 고도변화> 보조일기도

  • 푸른색이 진하게 나타나는 부분은 고도가 24시간 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중층 기압계 발달과 관련

  •  고도변화가 반대로 나타난다면 중층 기압계 쇠약 과정과 관련

4.     <1000-500hPa 층후선도-700풍속> 보조일기도

  • 층후선과 풍향의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지 확인

  • 서로 교차한다면 열적이류 가능성 

  • 등층후선이 밀집되고, 풍향이 교차한다면 강한 열적이류를 표현

  • 온도곡을 따라 올라가는 지상저기압은 발달 중이거나 성숙한 상태

  • 등층후선이 밀집되어 있다가 느슨해지는지 확인

                          -> 대류성 강수지역일 가능성 큼

5.     <1000-500hPa 층후선도 700 습수 분포> 보조일기도

  • 5400m 선 이하는 강수형태가 눈일 가능성 큼

3월 18일 09시 500hPa.gif

300hPa

1.      바람(제트류)

 

  •  Polar Jet (한대제트): 위도 30°~50° (8~18km), 일 남북 변동 큼, 지상 polar front에 대응

  • Subtropical Jet (아열대제트): 위도 20°~30° (여름에는 40도 부근까지 북상하나 3월 분석하므로 20°~30°로 생각하면 됨), 일 남북 변동 작음, 상층 jet front와 연관 (300 hPa에서의 위치는 약 -33°C 선과 대응)

  • 제트류 입구: 위쪽 수렴(Conv.), 아래쪽 발산(Div.)

  • 제트류 출구: 위쪽 발산(Div.), 아래쪽 수렴(Conv.)

  • 초록색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 내 검은 실선으로 유독 강한 제트류 (ex.100) -> 제트 스트리크

  • 강한 제트류: 120 m/s (250kts) 이상; Jet core

  • 제트류가 trough로 유입되면 고도가 낮아짐 -> trough 강화

  • 전선발생의 장에 최대 제트류가 겹치면 -> 저기압 발생

화면 캡처 2022-05-20 085603.jpg
Surface
925hPa
850hPa
700hPa
500hPa
300hPa
bottom of page